NPSH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서울초저온 작성일25-03-29 10:05관련링크
본문
NPSH
Reciprocate pump(왕복동펌프)
초저온 펌프를 사용하는 사용자 분들은 한번쯤 펌프가 공회전 또는 불규칙한 압축 그리고 아예 펌핑이 되지 않아 애를 태우던 경험을 가지고 있으리라 생각한다.
충전실과 펌프 사이를 분주히 오가면서 공회전 하는 펌프를 바라보며 밴트 밸브를 열고 기체를 방출하자 압축 되는 것 을 확인 후 충전실로 돌아왔지만 역시나 마찬가지다.
같은 방법을 챗바뀌 돌 듯 하는데 여간 성가시다.
이런 현상은 Reciprocate pump(왕복동펌프) 뿐만 아니라 탱크로리 및 트레일러에 설치된 Transfer 또는 Loding 용으로 사용하는 centrifugal pump도 마찬가지다.
Reciprocate pump(왕복동펌프)와 달리 centrifugal pump는 공회전 보다 소음, 진동, 베어링 마모, Cavitation이 발생하는데 여러 증상 중에서 Cavitation은 액화가스가
펌프 입구에 도달할 때 임계 온도의 변화로 발생된 기포가 터지는 것을 공동화 현상(포화증기압)이라 말한다.
포화 증기압은 압력이 커지면 재 액화 하려는 성질이 있어 펌프를 가동하면 기포가 터지는데
이로 인해 소음이 커지면서 부품 마모가 서서히 진행된다는 것이다.
Pump Cavitation
공동화 현상의 원인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중 대표적인 것으로는
1. NPSH
2. 잘못된 펌프 설계 및 제작
3. 배관 보온
이중 NPSH는 pump 설치시 반드시 지켜야 한다.
pump는 고유의 NPSH를 가지고 있으며 펌프 제조사는 고객에게 인도시 NPSHre 값을 제공한다.
시공사는 pump 제조사가 제공한 NPSHre값에 따라 NPSHav값을 계산하여 pump를 설치하여야 한다.
수 십년간 액화탄산 탱크로리에 설치된 펌프는 거의 모두가 NPSH를 무시하였으며
NPSHav 값보다 NPSHre 값이 높다는 것이다.
서울초저온(초저온테크)에서 개발한 centrifugal pump을
내용적 19톤 탄산 탱크로리에 NPSH를 계산하고 설치한 탱크로리와 지금껏 시공사에서
NPSH를 무시하고 관행처럼 해왔던 방식으로 설치한 탱크로리와의 충전시간을 비교하였더니
충전시간이 무려 30~40분 가량 차이가 있음을 탱크로리 사용자 입회하에서 증명하였다.
테스트 결과는 우리에게 많은 메시지를 던지고 있다.
수 십년간 무시해 오던 관행 때문에 운영자의 손실은 경제적으로 보면 상당할 것으로 보여진다.
혁신과 변화는 노력과 관심이 없으면 이룰 수 없다.
하지만 누군가가 하여야 하고 풀어야 하고 개선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동안 별 문제 없었다 하지 말고 문제가 많았네 라고 생각을 바꿔보자.
이것이 곧 고객에게 기쁨을 그리고 동반 성장의 길이 아닌가 생각한다.
pump 성능 및 효율을 극대화 시키기 위해선 pump 제조사가 제공하는 과학적 이론적 계산 방식에 의한 제안을
시공사는 받아주고 매뉴얼을 한번쯤 관심을 가지고 읽을 필요가 있고 펌프 제조사 그리고 시공사는 사용자에게 반드시
매뉴얼을 건내 줘야 하고 사용자 또한 요구하여야 한다고 조언을 하고 싶다.
매뉴얼은
부품교환주기, 고장원인 및 문제해결, NPSH를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우리 회사는 이와 관련하여 시공사 및 탱크 제조사에 관련 정보를 공유하였으나 각사의 소극적인 대처가 아쉽다.
애둘러 표현 하자면 시공사의 잘못으로 인해 pump 제조사가 피해를 보고 있는 것이다.
Reciprocate pump(왕복동펌프)
초저온 펌프를 사용하는 사용자 분들은 한번쯤 펌프가 공회전 또는 불규칙한 압축 그리고 아예 펌핑이 되지 않아 애를 태우던 경험을 가지고 있으리라 생각한다.
충전실과 펌프 사이를 분주히 오가면서 공회전 하는 펌프를 바라보며 밴트 밸브를 열고 기체를 방출하자 압축 되는 것 을 확인 후 충전실로 돌아왔지만 역시나 마찬가지다.
같은 방법을 챗바뀌 돌 듯 하는데 여간 성가시다.
이런 현상은 Reciprocate pump(왕복동펌프) 뿐만 아니라 탱크로리 및 트레일러에 설치된 Transfer 또는 Loding 용으로 사용하는 centrifugal pump도 마찬가지다.
Reciprocate pump(왕복동펌프)와 달리 centrifugal pump는 공회전 보다 소음, 진동, 베어링 마모, Cavitation이 발생하는데 여러 증상 중에서 Cavitation은 액화가스가
펌프 입구에 도달할 때 임계 온도의 변화로 발생된 기포가 터지는 것을 공동화 현상(포화증기압)이라 말한다.
포화 증기압은 압력이 커지면 재 액화 하려는 성질이 있어 펌프를 가동하면 기포가 터지는데
이로 인해 소음이 커지면서 부품 마모가 서서히 진행된다는 것이다.
Pump Cavitation
공동화 현상의 원인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중 대표적인 것으로는
1. NPSH
2. 잘못된 펌프 설계 및 제작
3. 배관 보온
이중 NPSH는 pump 설치시 반드시 지켜야 한다.
pump는 고유의 NPSH를 가지고 있으며 펌프 제조사는 고객에게 인도시 NPSHre 값을 제공한다.
시공사는 pump 제조사가 제공한 NPSHre값에 따라 NPSHav값을 계산하여 pump를 설치하여야 한다.
수 십년간 액화탄산 탱크로리에 설치된 펌프는 거의 모두가 NPSH를 무시하였으며
NPSHav 값보다 NPSHre 값이 높다는 것이다.
서울초저온(초저온테크)에서 개발한 centrifugal pump을
내용적 19톤 탄산 탱크로리에 NPSH를 계산하고 설치한 탱크로리와 지금껏 시공사에서
NPSH를 무시하고 관행처럼 해왔던 방식으로 설치한 탱크로리와의 충전시간을 비교하였더니
충전시간이 무려 30~40분 가량 차이가 있음을 탱크로리 사용자 입회하에서 증명하였다.
테스트 결과는 우리에게 많은 메시지를 던지고 있다.
수 십년간 무시해 오던 관행 때문에 운영자의 손실은 경제적으로 보면 상당할 것으로 보여진다.
혁신과 변화는 노력과 관심이 없으면 이룰 수 없다.
하지만 누군가가 하여야 하고 풀어야 하고 개선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동안 별 문제 없었다 하지 말고 문제가 많았네 라고 생각을 바꿔보자.
이것이 곧 고객에게 기쁨을 그리고 동반 성장의 길이 아닌가 생각한다.
pump 성능 및 효율을 극대화 시키기 위해선 pump 제조사가 제공하는 과학적 이론적 계산 방식에 의한 제안을
시공사는 받아주고 매뉴얼을 한번쯤 관심을 가지고 읽을 필요가 있고 펌프 제조사 그리고 시공사는 사용자에게 반드시
매뉴얼을 건내 줘야 하고 사용자 또한 요구하여야 한다고 조언을 하고 싶다.
매뉴얼은
부품교환주기, 고장원인 및 문제해결, NPSH를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우리 회사는 이와 관련하여 시공사 및 탱크 제조사에 관련 정보를 공유하였으나 각사의 소극적인 대처가 아쉽다.
애둘러 표현 하자면 시공사의 잘못으로 인해 pump 제조사가 피해를 보고 있는 것이다.